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의 개념 ==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는 농촌마을이 지닌 유·무형의 잠재적 자원을 주민들이 발굴하여 이를 특성화·사업화·산업화함으로써 마을의 경제적·사회적 활력을 높이는 것이다. 여기서 마을의 색깔은 농업생산, 유통가공에서 도농교류, 농촌개발 및 생활여건 개선에 이르기까지 농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모든 형태의 마을 발...)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의 개념 ==
==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의 개념 ==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는 농촌마을이 지닌 유·무형의 잠재적 자원을 주민들이 발굴하여 이를 특성화·사업화·산업화함으로써 마을의 경제적·사회적 활력을 높이는 것이다. 여기서 마을의 색깔은 농업생산, 유통가공에서 도농교류, 농촌개발 및 생활여건 개선에 이르기까지 농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모든 형태의 마을 발전 요소를 포괄한다.<ref>NABIS [https://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78&gbnCode=S51&searchCode=&searchCondition=&pageIndex=0&appfileUrl=terms&appfileName=???????????_??????????????2017(??).pdf&virfileName=terms2017.pdf&categoryCd=main&searchKeyword= 정책용어사전]</ref>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는 농촌마을이 지닌 유·무형의 잠재적 자원을 주민들이 발굴하여 이를 특성화·사업화·산업화함으로써 마을의 경제적·사회적 활력을 높이는 것이다. 여기서 마을의 색깔은 농업생산, 유통가공에서 도농교류, 농촌개발 및 생활여건 개선에 이르기까지 농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모든 형태의 마을 발전 요소를 포괄한다.<ref>[https://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78&gbnCode=S51&searchCode=&searchCondition=&pageIndex=0&appfileUrl=terms&appfileName=???????????_??????????????2017(??).pdf&virfileName=terms2017.pdf&categoryCd=main&searchKeyword= NABIS 정책용어사전]</ref>


==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의 특징 및 사업단계 ==
==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의 특징 및 사업단계 ==
18번째 줄: 18번째 줄:
==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의 향후 과제 ==
==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의 향후 과제 ==


* 주민 참여를 더욱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주민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컨설팅을 강화하고, 마을사업의 성과를 공유하는 등 주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 주민 참여를 더욱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주민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컨설팅을 강화하고, 마을사업의 성과를 공유하는 등 주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사업의 지속성 확보: 사업의 성과를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사업의 체계적인 운영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농촌 마을공동체 활성화 지원법의 제정을 통해 사업의 근거를 마련하고, 현장활동가 육성 확대 등 사업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 사업의 지속성 확보: 사업의 성과를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사업의 체계적인 운영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농촌 마을공동체 활성화 지원법의 제정을 통해 사업의 근거를 마련하고, 현장활동가 육성 확대 등 사업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외부링크==
==외부링크==
*정부 웹사이트: [https://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78&gbnCode=S51&searchCode=&searchCondition=&pageIndex=0&appfileUrl=terms&appfileName=???????????_??????????????2017(??).pdf&virfileName=terms2017.pdf&categoryCd=main&searchKeyword=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
*정부 웹사이트: [https://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78&gbnCode=S51&searchCode=&searchCondition=&pageIndex=0&appfileUrl=terms&appfileName=???????????_??????????????2017(??).pdf&virfileName=terms2017.pdf&categoryCd=main&searchKeyword=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
==각주==
==각주==

2023년 10월 16일 (월) 07:08 기준 최신판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의 개념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는 농촌마을이 지닌 유·무형의 잠재적 자원을 주민들이 발굴하여 이를 특성화·사업화·산업화함으로써 마을의 경제적·사회적 활력을 높이는 것이다. 여기서 마을의 색깔은 농업생산, 유통가공에서 도농교류, 농촌개발 및 생활여건 개선에 이르기까지 농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모든 형태의 마을 발전 요소를 포괄한다.[1]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의 특징 및 사업단계

  • 주민 주도: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는 주민이 주도하고 다양한 전문가가 참여하여 마을 발전의 과제를 도출하고 마을 발전계획을 수립하여 단계적으로 계획을 실행해가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상향식 정책: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는 중앙정부에서 계획을 짜고 지자체에서 사업비를 확보하여 주민들에게 내려주는 ‘하향식’ 정책과 달리, 주민들이 마을별로 자원을 발굴하고 발전계획을 수립하면 정부가 지원해주는 ‘상향식’ 정책의 롤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 다양한 유형: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는 농업형, 유통가공형, 도농교류형, 생활기반형, 생활만족형 등으로 유형을 나누어 접근할 수 있다.

사업의 단계는 예비-진입-발전-선도단계로 나뉘며, 각 단계별로 필요한 지원을 제공한다. 예비단계에서는 주민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컨설팅을 제공하고, 진입단계에서는 마을발전계획 수립을 지원한다. 발전단계에서는 마을사업을 추진하고, 선도단계에서는 마을의 우수사례를 확산한다.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의 의의

  • 주민 참여를 통한 마을공동체 활성화: 주민 주도로 마을발전계획을 수립하고, 다양한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마을공동체를 활성화할 수 있다.
  • 마을의 특색을 살린 지역경제 활성화: 마을의 특색을 살린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주민들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
  • 농촌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 주민 주도형 마을사업을 통해 농촌지역의 자립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의 향후 과제

  • 주민 참여를 더욱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주민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컨설팅을 강화하고, 마을사업의 성과를 공유하는 등 주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사업의 지속성 확보: 사업의 성과를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사업의 체계적인 운영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농촌 마을공동체 활성화 지원법의 제정을 통해 사업의 근거를 마련하고, 현장활동가 육성 확대 등 사업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외부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