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주택바우처 제도: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 주택바우처 제도의 개념 == 주택바우처 제도는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대료를 보조하는 제도이다. 주택바우처는 쿠폰, 증서 등을 통해 지원하는 방식을 의미하지만, 넓게는 임차인에게 임대료를 보조해 주는 방식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본 제도는 저소득층의 임대료가 소득의 일정 수준을 넘을 경우, 임대료의 일부를 쿠폰 형태로 지원하는 제도...)
 
편집 요약 없음
25번째 줄: 25번째 줄:
* 정부 웹사이트: [https://www.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162&gbnCode=S51&searchCode=&searchCondition=&pageIndex=0&appfileUrl=terms&appfileName=???????????_??????????????2017(??).pdf&virfileName=terms2017.pdf&categoryCd=main&searchKeyword= 주택바우처 제도(Housing Voucher Program)]
* 정부 웹사이트: [https://www.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162&gbnCode=S51&searchCode=&searchCondition=&pageIndex=0&appfileUrl=terms&appfileName=???????????_??????????????2017(??).pdf&virfileName=terms2017.pdf&categoryCd=main&searchKeyword= 주택바우처 제도(Housing Voucher Program)]


각주
== 각주 ==

2023년 9월 28일 (목) 12:51 판

주택바우처 제도의 개념

주택바우처 제도는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대료를 보조하는 제도이다. 주택바우처는 쿠폰, 증서 등을 통해 지원하는 방식을 의미하지만, 넓게는 임차인에게 임대료를 보조해 주는 방식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본 제도는 저소득층의 임대료가 소득의 일정 수준을 넘을 경우, 임대료의 일부를 쿠폰 형태로 지원하는 제도를 말한다.[1]

주택바우처 제도의 도입 배경 및 목적

주택바우처 제도는 월세의 증가, 임대료의 상승 등 주택임대시장의 변화에 따라 도입되었다. 안정적 주거생활이 보장되지 않고서는 개인의 존재, 가족의 가치 및 국가에 대한 신뢰 등이 추구될 수 없다는 전제 하에, 개인의 주택 선택권을 존중한다는 주거복지의 차원에서 제도의 도입이 제기되어 왔다. 주택바우처는 주거비 보조 프로그램의 일종으로, 저소득층이 주거비 부담을 줄이고, 원하는 주택에 거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택바우처 제도의 운영 방식 및 현황

주택바우처 제도는 저소득층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임대료의 일부를 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지원 대상자는 소득과 자산을 기준으로 선정되며, 지원 금액은 대상자의 소득, 임대료, 가구원수 등을 고려하여 산정된다. 우리나라에서 2010년부터 본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주택바우처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주관하여 운영되며, 지원 대상자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차상위계층,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등이 있다. 2023년 기준, 주택바우처 지원 대상자는 약 64만 가구이며, 지원 금액은 약 1조 5,000억 원이다.

주택바우처 제도의 기대 효과

  • 주거비 부담 완화 : 저소득층의 주거비 부담을 줄여 주거안정을 도모한다.
  • 주택 선택권 확대 : 저소득층이 원하는 주택에 거주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한다.
  • 주거복지 증진 : 저소득층의 주거권을 보장하고, 주거복지를 증진한다.

주택바우처 제도의 향후 과제

주택바우처 제도는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중요한 정책이다. 향후 주택바우처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

  • 지원 대상자 확대 :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지원 대상자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 지원 금액 확대 : 지원 금액을 확대하여 저소득층의 주거비 부담을 더욱 줄일 필요가 있다.
  • 제도의 효율성 제고 : 제도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여 지원 대상자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외부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