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공공자전거서비스: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개념 ==
== 개념 ==
공공자전거서비스란 정부나 지역 내 민간단체가 대여·반납 체계를 갖춰 해당 지역의 주민 또는 방문객에게 빌려주는 자전거로 주민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교통 체증, 대기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공공 자전거 대여 제도를 '자전거 공유 서비스', 또는 '자전거 공유 시스템(bicycle-sharing system)'이라고 한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66538&cid=43667&categoryId=43667</ref>
'''공공자전거서비스'''란 정부나 지역 내 민간단체가 대여·반납 체계를 갖춰 해당 지역의 주민 또는 방문객에게 빌려주는 자전거로 주민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교통 체증, 대기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공공 자전거 대여 제도를 ''<nowiki/>'자전거 공유 서비스'<nowiki/>'', 또는 ''<nowiki/>'자전거 공유 시스템(bicycle-sharing system)'''이라고 한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66538&cid=43667&categoryId=43667</ref>
 
== 발전 과정 ==


== 발전 과정<ref>Shaheen, Susan & Guzman, Stacey & Zhang, Hua. (2010). Bikesharing in Europe, the Americas, and Asia: Past, Present, and Future. Institute of Transportation Studies, UC Davis, Institute of Transportation Studies, Working Paper Series. 2143. 10.3141/2143-20. </ref> ==
{| class="wikitable"
|시기
|구성요소
|특성
|-
|1세대: white Bikes
|자전거
|
* 구별된 자전거
* 무료
* 잠금되지 않은 자전거
* 체계 없이 도시에 위치되어 있음
|-
|2세대: coin-deposit system
|자전거, 정류소
|
* 구별된 자전거
* 잠금장치가 있는 자전거
* 자전거가 정류소에 위치함
|-
|3세대: IT - Based system
|자전거, 정류소, 키오스크/인터페이스 기술
|
* 각각의 잠금장치가 있는 자전거
* 정류소
* 구별된 자전거
* 멤버십 서비스(특히 첫 몇 번은 무료로 제공중)
* 도난방지 시스템
|-
|4세대: Demand responsive, Multi-modal system
|자전거, 정류소, 키오스크/유저 인터페이스, 자전거 분배 시스템
|
* 구별된 자전거
* 공유 자전거에서 전기자전거의 등장
* 모바일/태양광 등 특수한 정류소
*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키오스크
* 발전된 잠금장치
|}


== 제도의 의의와 문제점 ==
== 제도의 의의와 문제점 ==


==  공공자전거서비스의 사업방식 ==
==  공공자전거서비스의 사업방식 ==
== 대한민국 전국의 공공 교통수단 제도 ==
=== 전국 공공자전거 서비스 ===
=== 전국 Personal Mobility 공유 서비스 ===
== 해외 유사 사례 ==
== 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 ==
== 기타 사업/분야에 미친 효과 ==

2023년 12월 23일 (토) 18:29 판

개념

'공공자전거서비스란 정부나 지역 내 민간단체가 대여·반납 체계를 갖춰 해당 지역의 주민 또는 방문객에게 빌려주는 자전거로 주민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교통 체증, 대기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공공 자전거 대여 제도를 '자전거 공유 서비스', 또는 '자전거 공유 시스템(bicycle-sharing system)이라고 한다[1]

발전 과정[2]

시기 구성요소 특성
1세대: white Bikes 자전거
  • 구별된 자전거
  • 무료
  • 잠금되지 않은 자전거
  • 체계 없이 도시에 위치되어 있음
2세대: coin-deposit system 자전거, 정류소
  • 구별된 자전거
  • 잠금장치가 있는 자전거
  • 자전거가 정류소에 위치함
3세대: IT - Based system 자전거, 정류소, 키오스크/인터페이스 기술
  • 각각의 잠금장치가 있는 자전거
  • 정류소
  • 구별된 자전거
  • 멤버십 서비스(특히 첫 몇 번은 무료로 제공중)
  • 도난방지 시스템
4세대: Demand responsive, Multi-modal system 자전거, 정류소, 키오스크/유저 인터페이스, 자전거 분배 시스템
  • 구별된 자전거
  • 공유 자전거에서 전기자전거의 등장
  • 모바일/태양광 등 특수한 정류소
  •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키오스크
  • 발전된 잠금장치

제도의 의의와 문제점

공공자전거서비스의 사업방식

대한민국 전국의 공공 교통수단 제도

전국 공공자전거 서비스

전국 Personal Mobility 공유 서비스

해외 유사 사례

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

기타 사업/분야에 미친 효과

  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66538&cid=43667&categoryId=43667
  2. Shaheen, Susan & Guzman, Stacey & Zhang, Hua. (2010). Bikesharing in Europe, the Americas, and Asia: Past, Present, and Future. Institute of Transportation Studies, UC Davis, Institute of Transportation Studies, Working Paper Series. 2143. 10.3141/214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