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창업보육센터

Public Policy Wiki
JK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9월 29일 (금) 15:52 판 (새 문서: == 창업보육센터의 개념 및 유형 == 창업보육센터는 기술과 아이디어는 있으나, 제반 창업 여건이 취약하여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창업초기기업(예비창업자)을 대상으로, 일정기간 입주시켜 기술개발, 경영지도, 자금지원 등 창업에 필요한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창업 활성화 및 성공률을 높이는 기업의 멘토 및 디딤돌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ref>[http...)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창업보육센터의 개념 및 유형

창업보육센터는 기술과 아이디어는 있으나, 제반 창업 여건이 취약하여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창업초기기업(예비창업자)을 대상으로, 일정기간 입주시켜 기술개발, 경영지도, 자금지원 등 창업에 필요한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창업 활성화 및 성공률을 높이는 기업의 멘토 및 디딤돌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1] 창업보육센터는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대학·연구기관 기반 창업보육센터: 대학·연구기관의 전문성과 유휴 공간 등을 활용하여 설립
  • 민간 기반 창업보육센터: 민간 기업이나 단체가 설립·운영

창업보육센터의 기능

창업보육센터는 크게 사무 공간 제공, 창업 교육, 경영 컨설팅, 자금 지원의 네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 사무 공간 제공은 창업 초기 기업이 사업을 시작할 수 있는 물리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창업보육센터는 사무실, 연구실, 창고 등의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창업 초기 기업이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창업 교육은 창업 초기 기업이 창업 과정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창업보육센터는 창업 관련 강좌와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창업 초기 기업이 성공적인 창업을 위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경영 컨설팅은 창업 초기 기업이 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창업보육센터는 경영 전문가의 컨설팅을 제공함으로써 창업 초기 기업이 사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자금 지원은 창업 초기 기업이 사업을 시작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자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창업보육센터는 정부 및 민간 자금을 활용하여 창업 초기 기업에 자금을 지원한다.

창업보육센터의 설립 배경

1997년 초, 한국 정부는 대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개혁하기 위한 중장기 전략으로 벤처기업 육성을 추진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를 위해 벤처기업 육성 특별조치법을 제정하고, 벤처창업 및 성장 지원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였다. 이후 정부는 1998년부터 대학·연구기관의 전문성과 유휴 공간 등을 활용하여, 창업보육센터(BI) 건립·운영을 지원하기 시작하였다. 2011년까지 총 3,783억 원(건립 2,764억 원, 운영 842억 원 등)을 투입하였고, 2006년 이후 260∼280개의 BI를 통해 창업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창업보육센터는 창업 초기 기업의 육성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표적인 창업지원 정책 및 인프라로 자리 잡았다. 전국적으로 4,818개 창업기업이 입주하여 연간 약 2조 4,800억 원의 매출과 2만 1천 명의 고용을 창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성과는 창업보육센터의 체계적인 지원과 창업기업의 노력이 결합된 결과이다. (2010년 말 기준)

창업보육센터의 한계

창업보육센터는 입주 기업의 창업 성공을 지원하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 지원을 제공한다. 그러나 창업은 장기적인 노력이 필요한 과정으로, 창업보육센터의 지원 기간이 제한적인 경우, 창업 성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창업보육센터는 다양한 분야의 창업초기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표준화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때문에 창업초기기업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지원 효과에 대한 평가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을 수 있다. 창업보육센터의 지원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입주 기업의 창업 성공률, 매출액, 고용 창출 등의 지표를 측정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추적 조사가 필요하며, 비용도 많이 소요된다.

외부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