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정보화마을사업

Public Policy Wiki
JK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9월 28일 (목) 12:36 판 (새 문서: == 정보화마을사업의 개념 == 정보화마을사업은 2001년부터 안전행정부와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추진해 온 사업으로, 농어촌지역을 비롯한 정보소외지역에 정보생활화를 유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촉진하며, 지역공동체를 형성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고양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 정보화마을사업의 추진 배경 == 정보화마을사업은 인터넷 새마을운동의 일환...)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정보화마을사업의 개념

정보화마을사업은 2001년부터 안전행정부와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추진해 온 사업으로, 농어촌지역을 비롯한 정보소외지역에 정보생활화를 유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촉진하며, 지역공동체를 형성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고양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정보화마을사업의 추진 배경

정보화마을사업은 인터넷 새마을운동의 일환으로, 도시와 지역 간의 소득격차, 정보격차를 줄이고 전자정부를 구현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농어촌지역은 도시에 비해 정보화 수준이 낮아 정보격차 해소가 시급한 상황이었다. 또한, 농어촌지역의 소득증대와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정보화 기반 조성이 필수적이었다.

정보화마을사업의 주요 내용

  • 인터넷 이용환경 조성: 농어촌지역과 정보소외지역에 초고속 인터넷 접속망을 구축하고, 정보이용에 필요한 컴퓨터와 소프트웨어를 지원한다.
  • 정보콘텐츠 구축: 지역의 특색과 문화를 반영한 정보콘텐츠를 개발하고, 지역주민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 정보교육 및 컨설팅: 지역주민이 정보기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 컨설팅을 제공한다.
  • 지역공동체 활성화: 정보기술을 활용한 지역공동체 활동을 지원한다.

정보화마을사업의 성과 및 향후 발전 방향

  • 정보격차 해소: 농어촌지역과 정보소외지역의 인터넷 이용률과 정보활용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 지역경제 활성화: 정보기술을 활용한 지역의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가 창출되었다.
  • 지역공동체 강화: 정보기술을 활용한 지역주민의 소통과 협력이 강화되었다.

정보화마을사업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정보화마을 조성에 도움을 준다. 또한, 지역의 특색과 문화를 반영한 정보화마을을 조성하여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주민 참여와 협력을 기반으로 한 정보화마을을 조성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더욱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외부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