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한옥마을

Public Policy Wiki
수정스탈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1월 5일 (일) 21:04 판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한옥마을의 정의 및 특징

현재 국내에 한옥마을에 대한 명확한 법적 정의는 없다. 가장 유사한 의미로서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시행령」(2015.6.4.) 상에 한옥 또는 한옥마을 조성에 대한 지원을 받고자 할 경우에 한옥마을은 일단(一團)의 범위 안에서 한옥이 10호 이상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1]

2013년 기준으로 전국 54개 지자체에서 제정한 한옥관련 조례에 따르면, 한옥마을은 한옥이 집단적으로 남아 있어 보전 및 보호 또는 진흥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지역으로, 해당 지자체장이 지정ㆍ공고한다. 서울시는 한옥밀집지역, 전라남도는 한옥보존시범마을로 명명하고 있다.

한옥마을의 추진 배경

한국의 전통문화와 역사를 간직한 한옥마을은 1984년 안동하회마을과 월성양동마을을 비롯한 6개 마을이 「문화재보호법」상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되면서부터 중요한 정책적 요소로 부각되었다. 이후 2000년대 들어서 지자체의 주도로 서울 북촌한옥마을, 전주 한옥마을 등 비문화재급 도시한옥마을에 대한 보전 및 활용정책이 추진되었다. 또한 2000년대 후반부터는 한스타일 육성종합계획(2007), 국가한옥센터 개소(2010) 등 기존의 한옥마을 보전 정책에서 벗어나 새로운 한옥ㆍ한옥마을을 조성하겠다는 정책적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한옥마을의 의의 및 향후 과제

한옥마을은 한국의 전통문화와 역사가 담긴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한옥마을은 한옥이 집단적으로 모여 있는 지역으로, 한옥의 건축양식, 생활문화, 자연환경 등이 어우러져 독특한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

한옥마을은 한국의 전통문화와 역사를 보전하고,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잠재력이 높은 자원이다. 그러나 한옥마을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들이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 한옥마을의 명확한 법적 정의 마련
  • 한옥마을의 체계적인 관리 및 지원
  • 한옥마을의 관광자원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

연구동향

전효진(2013)[2]은 전주 한옥마을 관광지 음식점의 메뉴선택요인에 대한 가치지각이 재구매의도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주 한옥마을 관광지 음식점의 메뉴 선택요인은 본질적, 외형적, 서비스적, 심리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메뉴 선택요인은 음식점의 가치지각을 높이고, 이는 재구매의도를 높이고 전환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태희&윤설민(2013)[3]은 문화유산 관광지에 대한 관광객의 진정성 지각, 태도, 만족도, 그리고 충성도 간 영향관계-남산골 한옥마을 방문객을 대상으로 연구한 바있다. 연구에 따르면 문화유산 관광지 방문객의 진정성 지각은 태도, 만족도, 인지적 충성도, 감정적 충성도, 행동의지적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류인평,조영호&심우석(2014)[4]은 관광스토리텔링과 관광목적지 매력, 브랜드 가치 연구-전주한옥마을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주 한옥마을 관광스토리텔링은 관광목적지 매력과 브랜드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교육성과 흥미성이 관광목적지 매력성에 영향을 미치며, 교육성은 브랜드 가치 인식에도 중요한 요인이다.

김경욱&이태희(2017)[5]는 한옥마을의 감각유산 인식이 러브마크와 트랜스포메이션 (Transformation)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한옥마을의 감각유산 인식이 러브마크, 트랜스포메이션, 재방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옥마을의 감각유산 인식을 통한 러브마크 개발이 중요하다.

외부링크

각주

  1. NABIS 정책용어사전
  2. 전효진. (2013). 전주 한옥마을 관광지 음식점의 메뉴선택요인에 대한 가치지각이 재구매의도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8(4), 419-436.
  3. 이태희, & 윤설민. (2013). 문화유산 관광지에 대한 관광객의 진정성 지각, 태도, 만족도, 그리고 충성도 간 영향관계-남산골 한옥마을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3), 1-14.
  4. 류인평, 조영호, & 심우석. (2014). 관광스토리텔링과 관광목적지 매력, 브랜드 가치 연구-전주한옥마을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29(2), 183-203.
  5. 김경욱, & 이태희. (2017). 한옥마을의 감각유산 인식이 러브마크와 트랜스포메이션 (Transformation)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31(2), 8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