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공동생산

Public Policy Wiki
수정스탈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1월 14일 (화) 09:19 판 (새 문서: == 개념적 정의 == 공동생산은 공공서비스의 전달과정에 대한 주민참여의 한 형식으로, 주민과 정부가 협력하여 공공서비스를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공동생산은 1970년대 후반 미국에서 도시재정의 압박과 시민의 서비스기대 증가에 대한 대안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공동생산의 유형은 주민의 관여유형과 참여자의 단위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주민의 관여유형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념적 정의

공동생산은 공공서비스의 전달과정에 대한 주민참여의 한 형식으로, 주민과 정부가 협력하여 공공서비스를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공동생산은 1970년대 후반 미국에서 도시재정의 압박과 시민의 서비스기대 증가에 대한 대안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공동생산의 유형은 주민의 관여유형과 참여자의 단위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주민의 관여유형에 따른 공동생산의 유형으로는 부조요청, 부조제공, 상호조정 등이 있다. 참여자의 단위에 따른 공동생산의 유형으로는 개인적, 집단적, 집합적 공동생산 등이 있다.

공동생산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본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시민의 기대와 정부의 공급수준이 일치하지 않아야 한다. 둘째, 시민과 정부의 관계가 상호의존적이어야 한다. 셋째, 정부가 주민의 참여를 수용할 수 있는 기술적, 관리적 능력이 있어야 한다. 넷째, 시민들이 자원적 행동을 할 의향이 있어야 한다. [1]

연구동향

권향원, & 윤영근. (2020)[2]은 공공문제해결을 위한 ‘정책 공동생산’(co-production) 의 개념적 이해 및 사례의 유형화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30(4), 1-26.

이맹주, & 김세진. (2019)[3]은 새로운 유형의 시민참여 사례 연구: 시민소싱 기반의 공동생산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29(2), 165-193.

권향원, & 우창빈. (2019)[4]은 기술기반 공동생산 플랫폼으로서 팹랩 (Fablab) 개념의 이해.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2(3), 23-55.

외부링크

한국행정학회 행정학전자사전

각주

  1. 한국행정학회 행정학전자사전
  2. 권향원, & 윤영근. (2020). 공공문제해결을 위한 ‘정책 공동생산’(co-production) 의 개념적 이해 및 사례의 유형화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30(4), 1-26.
  3. 이맹주, & 김세진. (2019). 새로운 유형의 시민참여 사례 연구: 시민소싱 기반의 공동생산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29(2), 165-193.
  4. 권향원, & 우창빈. (2019). 기술기반 공동생산 플랫폼으로서 팹랩 (Fablab) 개념의 이해.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2(3), 2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