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공공자전거서비스

Public Policy Wiki
박주원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23일 (토) 18:16 판 (새 문서: 공공자전거서비스란? 공공자전거서비스의 정의 정부나 지역 내 민간단체가 대여·반납 체계를 갖춰 해당 지역의 주민 또는 방문객에게 빌려주는 자전거로 주민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교통 체증, 대기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공공 자전거 대여 제도를 '자전거 공유 서비스', 또는 '자전거 공유 시스템(bicycle-sharing system)'이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공공자전거서비스란? 공공자전거서비스의 정의 정부나 지역 내 민간단체가 대여·반납 체계를 갖춰 해당 지역의 주민 또는 방문객에게 빌려주는 자전거로 주민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교통 체증, 대기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공공 자전거 대여 제도를 '자전거 공유 서비스', 또는 '자전거 공유 시스템(bicycle-sharing system)'이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공공 자전거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공공자전거의 세대별 발전 과정

1세대: white Bikes 구성요소: 자전거 특성: 구별된 자전거, 무료, 잠금되지 않은 자전거, 체계 없이 도시에 위치되어 있음 2세대: coin-deposit system 구성요소: 자전거, 정류소 특성: 구별도니 자전거, 잠금장치가 있는 자전거, 자전거가 정류소에 위치하고 있음 3세대: IT - Based system 구성요소: 자전거, 정류소, 키오스크/인터페이스 기술 특성: 각각의 잠금장치가 있는 자전거, 정류소, 구별된 자전거, 멤버십 서비스(특히 첫 몇 번은 무료로 제공중), 도난방지 시스템 4세대: Demand responsive, Multi-modal system 구성요소: 자전거, 정류소, 키오스크/유저 인터페이스, 자전거 분배 시스템 특성: 구별된 자전거, 전기자전거 역시 포함, 모바일/태양광 등 특수한 정류소,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키오스크, 발전된 잠금장치


제도의 의의와 문제점

장점 단점 접근성 향상 및 교통기본권 확대 자전거 보관 비용 절감/자전거 도난 문제 해결/자원의 효율적 활용 도시 미관 개선, 환경오염 문제 해결



공공자전거서비스의 경제적 운영: 초기 설치비/운영비가 가장 큼, 공공자전거의 유지비용(정비 및 수리비, 센터 운영비, 공공자전거 재배치 비용) 경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공공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만족도, 현재 지불하고 있는 가격 수준, 서비스의 신뢰도, 물가변동/시장상황/규모 등 경제성 공공자전거서비스의 사업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