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Ny89의 사용자 기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기여 검색▶▶▶접기
⧼contribs-top⧽
⧼contribs-date⧽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2024년 2월 18일 (일)

2023년 11월 20일 (월)

  • 11:272023년 11월 20일 (월) 11:27 차이 역사 +21,416 새글 새일센터새 문서: == 개요 == 개요 여성새로일하기센터(이하 새일센터)는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에 근거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추진됨. 2009년 72개 센터를 시작으로 2020년 기준 전국 158개 새일센터가 운영 중이다. 새일센터는 일반형 새일센터를 기반으로 2010년 광역센터를 운영하기 시작하였고 2015년부터 농어촌형, 경력개발형 등 유형별로 전국 158개가 운영 중... 태그: 시각 편집
  • 10:162023년 11월 20일 (월) 10:16 차이 역사 +13,168 새글 행정자료 우선활용 제도새 문서: == 개요 == 행정자료 우선활용 제도란 통계작성기고나이 통계작성의 승인⦁협의 전에 행정자료를 활용한 통계작성 가능 여부를 우선 판단하거나, 통계청장에게 판단을 의뢰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행정자료란, 공공기관이 직무상 작성⦁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문섶대장 및 도면과 데이터베이스 등 전산자료를 말하며, 통계자료는 제외된다.(통계법 제 3조) 이러한... 태그: 시각 편집
  • 08:582023년 11월 20일 (월) 08:58 차이 역사 +15,500 새글 자산형성지원사업새 문서: == 개요 == 자산형성지원사업은 일하는 수급가구 및 비수급 근로빈곤층이 목돈을 마련하여 자활을 위한 자금으로 쓸 수 있도록 돕는 제도로 현재 내일키움통장, 희망키움통장 Ⅰ,Ⅱ가 운영되고 있다. 2010년부터 시행된 자산형성지원사업은 지원 대상과 사업 의 범위를 점차 확대하여 왔으며, 2017년 12월 기준으로 12만 7천명의 누적 가입자가 참여하였다. 개별 제도별... 태그: 시각 편집
  • 08:432023년 11월 20일 (월) 08:43 차이 역사 +7,004 새글 선택의료급여기관제도새 문서: == 개요 == 선택의료급여기관이란의료급여 상한일수를 초과한 수급자는 여러 의료급여기관 이용에 따른 약제 병용 투여 및 중복투약으로 인하여 건강상 위해 발생 가능성이 높으므로, 차기연도 말까지 본인이 선택한 의료급여기관을 우선 이용토록 하는 것을 조건으로 상한일수를 연장하는 제도이다. 연장승인신청자 중 다음 해 복용할 약제를 처방받은 것으로 인... 태그: 시각 편집
  • 08:362023년 11월 20일 (월) 08:36 차이 역사 +12,764 새글 청년농촌보금자리새 문서: == 개요 == 청년농촌보금자리 사업은 귀농·귀촌 등 농촌 청년층의 주거․보육 부담을 완화하고 생활여건을 개선하는 등 안정적인 농촌 정착을 유도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서 농촌 지역의 지속가능성 제고하려는 목적을 가진 사업이다. 청년농촌보금자리 사업은 단독주택형 임대주택단지(개소당 30호 내외) 조성, 단지내공동육아시설과 문화·여가 커뮤니티시설 각 1... 태그: 시각 편집
  • 08:312023년 11월 20일 (월) 08:31 차이 역사 +8,323 새글 육아기본수당(강원도)새 문서: == 개요 == 강원도의 육아기본수당은 4세까지 지원하는 타 광역 자치단체의 육아기본수당의 대상을 확대하여, 정부추진 「부모급여」와  연계, 만 8세 미만까지 확대 지원하는 특징을 갖는다. ‘23년 정부 부모급여 시행을 계기로, 육아기본수당과의 중복연령에 과다 지원 문제가 발생하였다. 기존 사업의 재구조화를 통한 중복지원을 방지하고 정부 부모급여(0~11개... 태그: 시각 편집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