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Sjcho1302의 사용자 기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기여 검색▶▶▶접기
⧼contribs-top⧽
⧼contribs-date⧽

2023년 12월 25일 (월)

  • 00:542023년 12월 25일 (월) 00:54 차이 역사 −4,378 사용자:Sjcho1302문서를 비움 최신 태그: 비우기 시각 편집
  • 00:532023년 12월 25일 (월) 00:53 차이 역사 +1,015 새글 드론실명제새 문서: == 1. 개요[편집] == 드론 뻥소니를 막기 위해 생긴 제도, 드론관련 사고를 막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제도이다, 미국, 호주, 중국, 독일 그외 실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2021년부터 드론 실명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2021년부터는 2kg 이상 드론은 자동차처럼 소유주 즉 주인을 신고해야 한다. == 2. 특징[편집] == 국토부는 성능,위험도에 4단계로 분류할 것이다 무게 250... 태그: 시각 편집
  • 00:532023년 12월 25일 (월) 00:53 차이 역사 +18,425 새글 경찰 무인비행장치 운용규칙새 문서: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규칙은 경찰청이 소유한 수색용 무인비행장치의 운용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과 절차를 규정함으로써, 무인비행장치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국민의 사생활 침해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규칙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무인비행장치"란 사람이 탑승하지 아니하는 것으로서... 태그: 시각 편집
  • 00:512023년 12월 25일 (월) 00:51 차이 역사 +10,899 새글 드론 법규새 문서: 안전한 드론 비행을 원한다면 기체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조종 기술을 연마해야 한다. 법규에 맞는 비행을 하지 않으면 뛰어난 조종 실력도 아무 의미가 없다. 조종자는 다양한 관련 법규를 숙지하고 법의 테두리 내에서 드론을 운용해야 한다. === 「항공안전법」 === 「항공안전법」 1조에는 “이 법은 국제민간항공협약 및 같은 협약의 부속서에서…”라는 문장이... 태그: 시각 편집
  • 00:502023년 12월 25일 (월) 00:50 차이 역사 +3,458 새글 4차 산업혁명새 문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기술, 드론, 자율주행차, 가상현실(VR) 등이 주도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말한다. 이 용어는 2016년 6월 스위스에서 열린 다보스 포럼(Davos Forum)에서 포럼의 의장이었던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이 처음으로 사용하면서 이슈화됐다. 당시 슈밥 의장은 "이전의 1, 2, 3차 산업혁명이 전 세계적 환경을 혁명적으로 바꿔 놓은 것처럼 4차 산... 태그: 시각 편집
  • 00:492023년 12월 25일 (월) 00:49 차이 역사 +1,994 새글 고흥시 치안드론새 문서: 전남도자치경찰위원회가 경찰관이 배치되지 않은 섬 지역 주민 안전 서비스를 고도화하기 위해 ‘치안 드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남도자치경찰위원회는 ‘섬 지역 치안 드론 및 운용 체계 개발’을 위한 제4차 실증을 최근 고흥 녹동항과 고흥군청 내부영상망(CCTV) 관제센터에서 진행했다. 이는 특수 드론에 적외선 카메라, 탐조등, 경광등, 스피커 등 각... 태그: 시각 편집
  • 00:482023년 12월 25일 (월) 00:48 차이 역사 +9,120 새글 드론새 문서: 드론은 무선전파로 조종할 수 있는 무인 항공기다. 카메라, 센서, 통신시스템 등이 탑재돼 있으며 25g부터 1200kg까지 무게와 크기도 다양하다. 드론은 군사용도로 처음 생겨났지만 최근엔 고공 촬영과 배달 등으로 확대됐다. 이뿐 아니다. 값싼 키덜트 제품으로 재탄생돼 개인도 부담없이 드론을 구매하는 시대를 맞이했다. 농약을 살포하거나, 공기질을 측정하는 등... 태그: 시각 편집
  • 00:472023년 12월 25일 (월) 00:47 차이 역사 +5,159 새글 저작권새 문서: 산업재산권, 신지식 재산권과 함께 지식재산권의 대표적인 권리 중 하나이다. 저작권법 제4조에 의하면 저작물에는 소설, 시, 논문, 강연, 연설, 각본 등의 어문저작물뿐만 아니라, 음악, 연극, 미술, 건축, 사진, 영상, 도형에 대한 저작물도 포함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경우 1986년 특별법의 성격을 가지는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이 제정되면서 일부 프로그램 저작... 태그: 시각 편집
  • 00:462023년 12월 25일 (월) 00:46 차이 역사 +2,929 새글 Ai 위장수사새 문서: 3일 경찰 관계자들에 따르면 경찰청은 최근 확정한 ‘2023년 경찰청 국가연구개발사업 추진계획’에 위장수사 지원용 가상인물 생성 및 관리기술개발 사업을 담았다. 위장수사는 일명 N번방, 박사방 사건 등 디지털 성착취 범죄가 알려진 후 청소년성보호법이 개정돼 2021년 9월부터 아동·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범죄에 공식 도입됐다. 위장수사는 말 그대로 신분을... 태그: 시각 편집
  • 00:462023년 12월 25일 (월) 00:46 차이 역사 +3,274 새글 청소년성보호법새 문서: 아동·청소년의 성을 사거나 이를 알선하는 행위, 아동·청소년을 이용하여 음란물을 제작·배포하는 행위 및 아동·청소년에 대한 성폭력행위 등으로부터 아동·청소년을 보호·구제하여 청소년의 인권을 보장하고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전부개정 2009.06.09 법률 제9765호)이다. 시행일은 2010년 1월 1일이다. 전부개정 이전에... 태그: 시각 편집
  • 00:452023년 12월 25일 (월) 00:45 차이 역사 +3,036 새글 N번방새 문서: === n번방[편집] === 2019년 2월에 가해자들이 성 착취 사진을 올리고 신상정보까지 공유하는 텔레그램 채팅방이 있다는 사실이 디시인사이드의 야구 갤러리 및 수능 갤러리, 일베저장소 등의 커뮤니티에 알려졌다. ‘갓갓’이라는 닉네임은 트위터 일탈계정(자신의 알몸이나 성교행위, 자위행위 등을 찍어서 올리는 계정)을 운영하는 여성들을 목표로 삼았다. 그는 '... 태그: 시각 편집
  • 00:442023년 12월 25일 (월) 00:44 차이 역사 +4,378 새글 위장수사제도새 문서: 1. 위장수사 제도란? 아동 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범죄*에 한해 증거수집과 범인검거에 필요한 경우 경찰관이 신분을 숨기거나 위장해 수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디지털 성범죄를 사전에 효과적으로 적발하고 예방하기 위한 특례법으로 2021년 3월 23일 공포, 9월 24일부터 시행중이다. <nowiki>*</nowiki> 아동·청소년 대상 △성착취물 제작·판매 등 △성착취목적 대... 태그: 시각 편집
  • 00:432023년 12월 25일 (월) 00:43 차이 역사 +4,378 새글 사용자:Sjcho1302위장수사제도 태그: 시각 편집
  • 00:412023년 12월 25일 (월) 00:41 차이 역사 +4,302 새글 토론:자율운항 장비를 통한 치안현장 지원새 문서: 1. 위장수사 제도란? 아동 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범죄*에 한해 증거수집과 범인검거에 필요한 경우 경찰관이 신분을 숨기거나 위장해 수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디지털 성범죄를 사전에 효과적으로 적발하고 예방하기 위한 특례법으로 2021년 3월 23일 공포, 9월 24일부터 시행중이다. * 아동·청소년 대상 △성착취물 제작·판매 등 △성착취목적 대화 등 △불법촬... 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