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Cho의 사용자 기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기여 검색▶▶▶접기
⧼contribs-top⧽
⧼contribs-date⧽
(최신 | 오래됨) (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2024년 3월 15일 (금)

  • 17:272024년 3월 15일 (금) 17:27 차이 역사 +27,457 새글 중소기업 옴부즈만새 문서: 중소기업 옴부즈만 = 개요 = 중소기업 옴부즈만은 불합리한 중소·중견기업 규제 및 애로를 상시적·체계적으로 정비하는 독립기관이다. 공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개인이자 기관이며 국무총리가 중소기업 전문가를 위촉옴부즈만의 원활한 활동지원을 위해 중소벤처기업부 옴부즈만지원단을 설치·운영한다. 또한 중소기업 옴부즈만은 기업 민원인에 대한 불이익 및... 최신
  • 17:262024년 3월 15일 (금) 17:26 차이 역사 −27,459 소극행정 신고제도편집 요약 없음 최신
  • 17:252024년 3월 15일 (금) 17:25 차이 역사 +36,304 새글 소극행정 신고제도새 문서: = 개요 = * 국민신문고 홈페이지에서는 ‘소극행정 신고센터’를 신설, 소극행정 사례를 상시 접수하고, 신고사항은 기관별 감사부서에서 즉시 조사·처리하고 있다. * 담당공무원이 민원에 대해 충분히 설명할 수 있도록 ‘표준설명양식’ 마련하고 있으며 소극행정 특별점검반을 운영하여 악성·상습사례 적발 시 엄정 조치한다. * 징계사례를 전파하여 공직사회...
  • 17:242024년 3월 15일 (금) 17:24 차이 역사 +9,012 새글 적극행정 국민신청새 문서: = 개요 = 적극행정 국민신청제도란 국민이 공무원에게 적극행정제도(적극행정위원회의 의견제시, 감사기구를 통한 사전컨설팅 등)를 활용하여 법령 미비 또는 불명확 등으로 인해 발생한 공익적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을 신청할 수 있는 제도이다. 개인 또는 단체 등 누구나 추천할 수 있다. 추천한신 내용은 소관 기관에 통보되고 심사를 거쳐 적극행정 우수사례로... 최신
  • 17:232024년 3월 15일 (금) 17:23 차이 역사 +44,555 새글 납세자권리구제제도새 문서: = 개요 = 납세자 권리가 침해되었을 때 이를 구제하기 위한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권리보호요청제도, 과세전적부심사제도, 이의신청 및 심사청구, 국선대리인 제도 등이 있다. 납세고지서가 나오기 전에 구제받을 수 있는 '사전' 권리구제 제도와 납세고지서를 받은 후에 구제받을 수 있는 '사후'권리구제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사전'권리구제 제도에는... 최신
  • 17:222024년 3월 15일 (금) 17:22 차이 역사 +34,858 새글 납세자 고충민원 처리제도새 문서: = 개요 = 고충민원은 세무관서장의 처분이 완료된 사항으로서, 위법·부당한 처분을 받았거나 필요한 처분을 받지 못하여 납세자의 권리·이익이 침해되었거나 불편 또는 부담을 준 사항에 관한 민원을 말한다.(납세자보호사무처리규정 제2조 제1항 제5호) 고충민원 처리제도란 세법을 잘 알지 못하고 경제적 사정으로 세무대리인을 선임할 수 없는 영세납세자가 부... 최신
  • 17:192024년 3월 15일 (금) 17:19 차이 역사 +25,183 새글 납세자권익보호제도새 문서: = 개요 = 납세자의 권리는 헌법과 법률에 따라 존중되고 보장된다. 납세자 권리헌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납세자는 신고 등의 협력의무를 이행하지 않았거나 구체적인 조세탈루 혐의가 없는 한 성실하다고 추정되고 법령에 의해서만 세무조사 대상으로 선정되며, 공정한 과세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간과 범위에서 조사받을 권리가 있다. * 납세자는 증거인멸의... 최신

2023년 8월 17일 (목)

2023년 8월 14일 (월)

  • 16:502023년 8월 14일 (월) 16:50 차이 역사 +2,416 새글 공공기관 지방이전새 문서: == 연도별 공공기관 이전 현황<ref>유주희, & 박정수. (2023). 공공기관 지방이전의 지역경제발전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32(2), 169-193.</ref> == {| class="wikitable" |+ !연도 !'07~'12 !'13 !'14 !'15 !'16 !'17 !'18 !'19 !합계 |- |'''이전 기관수(개)''' |13 |22 |59 |41 |7 |5 |3 |3 |153 |} == 추진근거 == *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18조 <blockquote>'''제18조(공공기관의 지방이전 및 혁신도... 태그: 시각 편집

2023년 8월 4일 (금)

2023년 7월 31일 (월)

  • 16:512023년 7월 31일 (월) 16:51 차이 역사 +3,231 새글 개방형 직위새 문서: == 정의 == 정부 내 중앙부처 고위공무원단과 과장급 직위 중 전문성이 요구되는 주요 직위를 개방해 공직 내·외부를 불문하고 공개경쟁을 거쳐 인재를 선발하는 제도이다. === 유사제도 === * 공모직위제 : 공직내부 경쟁으로만 제한한 제도. 정부 내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효율적인 정책수립 및 관리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직위에 당해 기관내부 또... 태그: 시각 편집
  • 15:252023년 7월 31일 (월) 15:25 차이 역사 +3,216 재난문자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2023년 7월 17일 (월)

2023년 7월 12일 (수)

2023년 7월 11일 (화)

(최신 | 오래됨) (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