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River9의 사용자 기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기여 검색▶▶▶접기
⧼contribs-top⧽
⧼contribs-date⧽
(최신 | 오래됨) (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2023년 12월 31일 (일)

2023년 12월 29일 (금)

2023년 12월 22일 (금)

2023년 12월 1일 (금)

  • 18:002023년 12월 1일 (금) 18:00 차이 역사 +16,259 새글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새 문서: = 개요 =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는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 제21조의3 및 ⌈노인•장애인 등 사회복지시설의 급식안전 지원에 관한 법률⌋ 제6조의 의거하여 설립된 국내 유일의 급식안전관리 및 식생활 영양 전문기관이다. 전국 지역 지자체마다 설치된 어린이•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를 통합 운영•관리하며 단체급식을 위한 식단 및 조리법 개... 태그: 시각 편집
  • 17:492023년 12월 1일 (금) 17:49 차이 역사 +5,187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 17:472023년 12월 1일 (금) 17:47 차이 역사 +16,618 새글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새 문서: ==== 「어린이 기호식품 품질인증제도」는 안전하고 영양을 고루 갖춘 어린이 기호식품의 제조·가공·유통·판매를 권장하기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한 품질인증 기준에 적합한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하여 품질인증을 해주는 제도를 말하며, 품질인증을 받은 어린이 기호식품은 용기·포장 등에 일정한 도형 또는 문자로 품질인증식품 표시를 할 수 있다. 품... 태그: 시각 편집
  • 17:382023년 12월 1일 (금) 17:38 차이 역사 +13,445 새글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새 문서: = 개요 =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食品安全保護區域)은 안전하고 위생적인 어린이 기호식품 판매 환경 조성을 위하여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을 지정 · 운영하고 전담 관리원의 상시 모니터링을 통하여 안전한 그린푸드존을 관리하는 제도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품판매 환경의 조성으로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이 학교와 해... 태그: 시각 편집
  • 17:282023년 12월 1일 (금) 17:28 차이 역사 +7,811 새글 건강기능식품 GMP새 문서: = 개요 = '''<nowiki/>'건강기능식품 GMP 지정제도'는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및 품질관리를 위하여 건강기능식품제조업의 허가를 받은 영업자가 위생적인 제조시설 · 설비를 갖추고 업체 자율 4대 기준서를 마련하여, 이를 적용하는 업체에 정부기관(식품의약품안전처)이 인증하는 제도이다. 작업장의 구조, 설비를 비롯하여 원료의 구입으로부터 생산·포장·출하... 태그: 시각 편집
  • 17:142023년 12월 1일 (금) 17:14 차이 역사 +11,663 새글 GMO안전성심사제도새 문서: = 개요 = 최초로 수입 또는 생산되는 유전자변형식품은 '유전자변형식품등 안전성 심사위원회'를 통하여 안전성을 확인한 후 수입 및 판매가 허용되고 있다. 또한 최초 승인 후 10년이 경과된 품목에 대해서는 재심사를 통하여 유전자변형식품의 안전성을 재확인하고 있다. 유전자변형식품의 안전성 심사는 EU, 일본 등과 마찬가지로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 태그: 시각 편집
  • 17:022023년 12월 1일 (금) 17:02 차이 역사 +7,315 새글 축산물허용물질관리제도새 문서: = 개요 = 축산물 허용물질관리제도(출산물 PLS)는 가축질병 예방 등을 위해 사용하는 동물약품 중잔류허용기준이 없는 약품의 사용을 제한하는 제도를 말한다. <nowiki>*</nowiki> 축산물 잔류허용물질 목록관리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 사용이 허가·등록된 잔류물질(동물약품, 농약)은 허가기준에 따라 관리, 그 외는 일률기준(0.01mg/kg) 적용 2024년 축산물 PLS 시행을 예... 태그: 시각 편집
  • 16:462023년 12월 1일 (금) 16:46 차이 역사 +11,157 새글 농약허용기준강화(PLS)제도새 문서: = 개요 = ==== 농약 허용기준강화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란 농약 안전관리를 강화하는 것으로, 국내외 합법적으로 사용된 농약에 한하여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고 그 외에는 불검출 수준으로 관리하는 제도이다. 농산물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수입량도 증가하고 있어 농약 안전관리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따라서 해당 농산물에 사용이 허용되지 않은 농약은 불검... 태그: 시각 편집
  • 16:292023년 12월 1일 (금) 16:29 차이 역사 +23,218 새글 농산물이력추적관리제도새 문서: = 개요 = ==== 식품이력추적관리(Traceability) 제도란 식품을 제조·가공단계부터 판매단계까지 각 단계별로 이력추적정보를 기록·관리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안전한 식품선택을 위한 '소비자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해당 식품의 안전성 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신속한 유통차단과 ==== 회수조치를 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제도를 말한다. 농산물에 대한 추적과... 태그: 시각 편집
  • 16:172023년 12월 1일 (금) 16:17 차이 역사 +13,482 새글 GAP인증기관지정제도새 문서: = 개요 = ==== '''GAP인증기관은''' 인증업무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인증에 필요한 조직과 인력, 시설, 업무규정을 갖춘 법인을 인증기관으로 지정하는 제도이다. ==== 국제적인 추세에 따라 민간인증기관을 통해 농산물우수관리 인증업무를 수행토록 하고 있으며, 농림축산식품부장관으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이 농산물우수관리 인증업무를... 태그: 시각 편집
  • 16:062023년 12월 1일 (금) 16:06 차이 역사 +45,693 새글 농산물우수관리시설새 문서: = 개요 = 안전성이 확보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국가(농관원)가 지정한 민간인증기관에서 관리시설을 지정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 배경 == GAP 인증을 받은 농산물은 기존 농산물 생산체계와 차별화된 방식으로 생산과 관리가 이루어지며, 이는 농산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동시에 농업환경을 보전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농산물은 생산, 수확 이후... 태그: 시각 편집
  • 15:552023년 12월 1일 (금) 15:55 차이 역사 +12,752 새글 농산물우수관리(GAP)새 문서: = 개요 = 농산물우수관리제도 GAP은 Good Agricultural Practices의 약자이다. == 목적 == # 소비자에게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기 위해 생산에서 판매까지의 안전관리체계를 구축. #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소비자 신뢰를 높이고 국제시장에서의 우리 농산물 경쟁력을 강화. # 저투입 지속가능한 농업을 통해 농업환경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유지. == 배경 == #... 태그: 시각 편집
(최신 | 오래됨) (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