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수정스탈의 사용자 기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기여 검색▶▶▶접기
⧼contribs-top⧽
⧼contribs-date⧽
(최신 | 오래됨) (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2023년 11월 14일 (화)

  • 11:512023년 11월 14일 (화) 11:51 차이 역사 +14 국민참여재판제도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 11:502023년 11월 14일 (화) 11:50 차이 역사 +4,718 새글 국민참여재판제도새 문서: == 개념적 정의 == 국민참여재판제도는 주권자인 국민이 재판과정에 참여하여 사법작용의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국민의 법 감정을 반영하기 위한 제도이다. 우리나라는 2008년 1월 1일부터 국민이 배심원으로서 형사재판에 참여하는 국민참여재판을 도입하였다. 국민참여재판제도의 도입 배경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국민의 사법작용에 대한 불신... 태그: 시각 편집
  • 11:252023년 11월 14일 (화) 11:25 차이 역사 +4,845 새글 자치단체조합새 문서: == 개념적 정의 == 현행 우리나라의 자치단체조합은 2개 이상의 지방자치단체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사무를 공동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설립되는 법인으로서, 행정협의회와 달리 집행력을 갖고 법인격을 갖는다는 점에서 실효성이 높다. 또한, 자치단체조합은 분쟁을 야기하는 지역을 하나로 통합하여 관리하는 제도이지만, 자치단체의 합병과는 달리 기존의 자치단... 태그: 시각 편집
  • 11:032023년 11월 14일 (화) 11:03 차이 역사 +5,023 새글 특별교부세새 문서: == 개념적 정의 == 특별교부세는 보통교부세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특수한 재정수요를 고려하여 교부하는 재원이다. 특별교부세의 재원은 지방교부세의 11%이며, 교부대상은 시책사업, 재정보전, 재해대책, 지역개발, 특정현안 등 5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교부방법은 지방자치단체의 신청을 원칙으로 하며, 국가적 주요시책 추진 등에는 일정한... 태그: 시각 편집
  • 10:522023년 11월 14일 (화) 10:52 차이 역사 +6,106 새글 기준재정수입액새 문서: == 개념적 정의 == 기준재정수입액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수입을 합리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산식이다. 이는 기준재정수요액과 대응하는 개념으로, 보통교부세 배분액을 결정하는 핵심요소이다. 기준재정수입액은 기준세율(지방세법의 표준세율의 100분의 80)을 적용하여 산정한 당해 자치단체 보통세의 수입액(기초수입액)과 기초수입액 산정이 매우 불합리한 경우... 태그: 시각 편집
  • 10:422023년 11월 14일 (화) 10:42 차이 역사 +14 보통교부세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 10:422023년 11월 14일 (화) 10:42 차이 역사 +5,093 새글 보통교부세새 문서: == 개념적 정의 == 보통교부세는 지방자치단체가 기본적인 행정수준 유지를 위한 일반재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재원으로, 지방교부세 총액의 11분의 10에 해당하는 액을 그 재원으로 한다. 보통교부세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력 격차 해소를 위한 핵심 재원이지만, 특별교부세 비중이 높고, 기준재정수요액과 기준재정수입액의 산정방식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등... 태그: 시각 편집
  • 10:312023년 11월 14일 (화) 10:31 차이 역사 +39 지방재정조정제도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 10:312023년 11월 14일 (화) 10:31 차이 역사 +5,542 새글 지방재정조정제도새 문서: == 개념적 정의 == 지방재정조정제도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재원 배분을 조정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력 격차를 완화하고, 지방자치단체가 최소한의 행정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지방자치단체는 그 사무를 행하고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재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역 간 경제력 격차에 따라 세원이 지역적으로 편재되어 있어 지방자치단체... 태그: 시각 편집
  • 10:222023년 11월 14일 (화) 10:22 차이 역사 +14 성매매 특별법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 10:222023년 11월 14일 (화) 10:22 차이 역사 +5,098 새글 성매매 특별법새 문서: == 개념적 정의 == 성매매특별법은 1961년 제정된 윤락행위방지법의 개정으로 탄생하였다. 윤락행위방지법은 성매매를 엄격히 금지하고 성매매자와 구매자 모두를 처벌하는 쌍벌주의를 채택하였다. 그러나 성매매특별법은 성매매를 범죄로 규정하고, 성매매를 알선하는 행위도 처벌하는 등 성매매의 공급과 중간 매개체를 엄격히 처벌하고 근절하는 데 목적을 두고... 태그: 시각 편집
  • 10:032023년 11월 14일 (화) 10:03 차이 역사 +5,171 새글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새 문서: == 개념적 정의 ==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은 정부가 출자한 기업체의 경영합리화와 정부출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제정된 법률이다. 적용범위는 정부가 납입자본금의 5할 이상을 출자한 기업체로서, 한국방송공사,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은 제외된다.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의 특징 크게 2가지이다. 첫째,이사회 중심의 책임경영제로, 이... 태그: 시각 편집
  • 09:522023년 11월 14일 (화) 09:52 차이 역사 +5,112 새글 공기업경영평가제도새 문서: == 개념적 정의 == 공기업 경영평가는 공기업의 경영목표 달성 여부, 효율성, 경영개선을 유도함으로써 공기업의 효율적 경영을 도모하기 위한 제도이다. 우리나라 정부투자기관 경영평가는 정부투자기관 운영위원회와 경영평가단이 담당하고 있다. 운영위원회는 경영실적보고서와 계약체결보고서를 기반으로 경영평가의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경영평가단은 운영... 태그: 시각 편집
  • 09:442023년 11월 14일 (화) 09:44 차이 역사 +4,741 새글 지방교육양여금새 문서: == 개념적 정의 == 지방교육양여금제도는 국가가 내국세 중 특정세목 수입의 일부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에 양여하여 교육재정 부담을 완화하고, 교육의 질적 개선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이다. 지방교육양여금은 1990년에 신설되어 현재는 지방재정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양여금의 재원은 전화세, 전신전화세, 전기요금, 자동차세, 지방소비세, 지방... 태그: 시각 편집
  • 09:342023년 11월 14일 (화) 09:34 차이 역사 +4,517 새글 지방교육재정교부금새 문서: == 개념적 정의 ==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은 교육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국가가 지방자치단체에 교부하는 재원이다. 보통교부금은 기준재정수요액과 기준재정수입액의 차액을 교부하고, 특별교부금은 특별한 재정수요가 있을 때 교부한다. 교부금의 재원은 내국세 총액의 1,300분의 1, 의무교육기관의 교원봉급 등이다. 지방교육재정교부를 통해 지방자치... 태그: 시각 편집
  • 09:242023년 11월 14일 (화) 09:24 차이 역사 +3,253 공동생산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 09:192023년 11월 14일 (화) 09:19 차이 역사 +2,505 새글 공동생산새 문서: == 개념적 정의 == 공동생산은 공공서비스의 전달과정에 대한 주민참여의 한 형식으로, 주민과 정부가 협력하여 공공서비스를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공동생산은 1970년대 후반 미국에서 도시재정의 압박과 시민의 서비스기대 증가에 대한 대안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공동생산의 유형은 주민의 관여유형과 참여자의 단위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주민의 관여유형에... 태그: 시각 편집

2023년 11월 9일 (목)

2023년 11월 8일 (수)

2023년 11월 6일 (월)

(최신 | 오래됨) (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